월급 외 수입 안전하게 시작하기

이미지
월급 외 수입, 안전하게 시작하기 월급만으로는 불안할 때가 있죠. 그렇다고 큰돈을 들이거나 위험한 일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 글은 누구나 작게·안전하게 시작할 수 있는 월급 외 파이프라인 구축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핵심은 작은 실행을 매일 반복하는 것입니다. 월급 외 수입 안전하게 시작하기 ✅ 시작 전, 이 3가지를 준비하세요 시간 고정 : 매일 같은 시간에 30분 확보(알람 설정) 주제 선택 : 내 경험/관심 1가지(예: 요리, 사진, 동네 정보, 건강 습관) 기록 장소 : 메모앱 또는 카톡 ‘나와의 채팅’ (간단히 기록 가능) ✅ 도전 가능한 라인  1) 배달업 파이프라인 퇴근 후나 주말에 배달 플랫폼 (쿠팡이츠, 배민 등)에 등록해 원하는 시간만 일할 수 있습니다. 즉시 수입이 생기고, 본업 외 소득 파이프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어요. 장점 : 바로 현금화 가능, 시간 자유, 꾸준한 수요 단점 : 체력 소모, 날씨·교통 위험, 보험 필수 현실 수익 : 평일 저녁 3~4시간 → 3~6만 원, 주말 하루 → 10만 원 안팎 팁: 반드시 배달 보험에 가입하고, 야간 근무보다는 안전한 시간대를 선택하세요. 2) 중고·정리 판매 집 안의 안 쓰는 물건 부터 판매하세요(책, 소형가전, 생활소품). 사진 3장(정면·측면·하단)과 상태·구성품·특이사항 만 간단히 적어도 충분합니다. 3) 쿠팡 파트너스 같은 링크 수익 내가 쓰는 물건·책·주방도구를 사용 후기 + 링크 로 소개합니다. 재고를 쌓지 않아도 되고, 글이나 SNS에 링크를 남기면 클릭이 누적됩니다. 4) 시니어 도움 서비스(말벗·디지털 도우미) 전화/대면으로 말벗 이 되어드리거나, 스마트폰 사용(카톡·사진·은행앱) 등 생활 디지털 도우미 를 합니다. 동네 복지관·문화센터·교회 소모임에서 시작하면 신뢰를 빠르게 쌓을 수 있어요. 5) 동네 소규모 클래스 내 취미(사진·노래·산책·뜨개질·스마트폰 사진 정리)를 2~5명 소모임으로 운영합니다. 장소는 카...

장애인을 위한 직업훈련센터 지역별 이용법

 

장애인을 위한 직업훈련센터 이용법이라는 문구가 들어간 가로형 썸네일 이미지로, 푸른 배경에 체크리스트 아이콘과 서류를 살펴보는 사람 일러스트가 포함되어 있음. 직업훈련, 정부지원, 진로안내를 상징하는 요소들이 균형 있게 배치됨.
장애인을 위한 직업훈련센터 이용법

장애인을 위한 직업훈련센터 지역별 이용법 

고등학교 졸업 후 장애인의 일상생활과 경제적 자립을 위해 직업훈련은 중요한 디딤돌입니다. 하지만 어디서, 어떻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전국에 분포한 직업훈련센터를 지역별로 정리하고, 이용 방법과 주의사항까지 자세히 안내드리니 참고하세요.

✅ 직업훈련센터란?

장애인 직업훈련센터는 장애인의 직무 능력을 키우기 위해 국가나 지자체가 운영하는 공공시설입니다. 컴퓨터 활용, 사무보조, 바리스타, 제조 기술 등 다양한 교육 과정을 제공하며, 수료 후 취업 연계도 지원합니다.

✅ 주요 훈련기관 종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직업능력개발원 (서울, 대전, 대구, 광주, 부산 등)
  • 장애인복지관 내 직업재활시설 (지역별 운영)
  • 민간 위탁직업학교 (국비지원 교육병행)

✅ 지역별 센터 직무 요약

서울

  • 서울장애인직업능력개발원 (영등포구)
    → 사무보조, 전산입력, 바리스타, 커피머신 관리
  • 강서구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실
    → 단순조립, 포장작업, 제과제빵 기초

경기

  • 경기도 장애인종합지원센터 누림센터
    → 사무입력, 포장, 청소 서비스 훈련
  • 수원시 권선구 장애인복지관
    → 바리스타, 제과제빵, 목공예

부산

  • 부산직업능력개발원 (기장군)
    → 사무보조, 이미지 편집 기초, 식품가공
  • 부산진구 장애인종합복지관
    → 생산직 기초, 비누공예, 제빵 훈련

이외에도 전국 시·군·구에 적어도 한 곳 이상의 관련 기관이 운영되고 있으므로, 관할 복지센터나 고용센터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이용 대상 및 절차

  1. 장애인 등록이 되어 있는 성인 (만 18세 이상)
  2. 훈련 전 직업심사 또는 기초상담 필요
  3. 과정별로 3개월~1년까지 훈련
  4. 교육비 대부분 무료, 일부 훈련수당 지급

✅ 직업군 예시

  • 사무보조, 문서작성
  • 바리스타, 제과제빵
  • 포장·조립, 생산직
  • IT·코딩 기초 (일부 센터)

✅ 신청 전 체크리스트

  • 원하는 직무가 해당 센터에 있는지 확인
  • 기초 학습 능력 또는 출퇴근 거리 고려
  • 출석률 및 성실도 기준 충족 필요

✏️ 이런 글도 있어요.

💬 마무리하며

고등학교 특학급이나 특수학교를 졸업하고 바로 직업 찾기가 어렵지만,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직업훈련은 그 시작점이 되어줄 수 있어요. 지금 사는 지역에서 어떤 센터가 있는지 알아보고, 작은 첫걸음을 시작해 보세요. 정보를 알아야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자료 출처

🌐 English Summary

This post introduces job training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cross Korea. It explains eligibility, training types, and how to apply. Accessible support makes self-reliance more possible.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마음을 다독이는 책 8권

인문 교양 도서 추천 7

싱가포르 스탑오버 핵심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