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외 수입 안전하게 시작하기

이미지
월급 외 수입, 안전하게 시작하기 월급만으로는 불안할 때가 있죠. 그렇다고 큰돈을 들이거나 위험한 일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 글은 누구나 작게·안전하게 시작할 수 있는 월급 외 파이프라인 구축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핵심은 작은 실행을 매일 반복하는 것입니다. 월급 외 수입 안전하게 시작하기 ✅ 시작 전, 이 3가지를 준비하세요 시간 고정 : 매일 같은 시간에 30분 확보(알람 설정) 주제 선택 : 내 경험/관심 1가지(예: 요리, 사진, 동네 정보, 건강 습관) 기록 장소 : 메모앱 또는 카톡 ‘나와의 채팅’ (간단히 기록 가능) ✅ 도전 가능한 라인  1) 배달업 파이프라인 퇴근 후나 주말에 배달 플랫폼 (쿠팡이츠, 배민 등)에 등록해 원하는 시간만 일할 수 있습니다. 즉시 수입이 생기고, 본업 외 소득 파이프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어요. 장점 : 바로 현금화 가능, 시간 자유, 꾸준한 수요 단점 : 체력 소모, 날씨·교통 위험, 보험 필수 현실 수익 : 평일 저녁 3~4시간 → 3~6만 원, 주말 하루 → 10만 원 안팎 팁: 반드시 배달 보험에 가입하고, 야간 근무보다는 안전한 시간대를 선택하세요. 2) 중고·정리 판매 집 안의 안 쓰는 물건 부터 판매하세요(책, 소형가전, 생활소품). 사진 3장(정면·측면·하단)과 상태·구성품·특이사항 만 간단히 적어도 충분합니다. 3) 쿠팡 파트너스 같은 링크 수익 내가 쓰는 물건·책·주방도구를 사용 후기 + 링크 로 소개합니다. 재고를 쌓지 않아도 되고, 글이나 SNS에 링크를 남기면 클릭이 누적됩니다. 4) 시니어 도움 서비스(말벗·디지털 도우미) 전화/대면으로 말벗 이 되어드리거나, 스마트폰 사용(카톡·사진·은행앱) 등 생활 디지털 도우미 를 합니다. 동네 복지관·문화센터·교회 소모임에서 시작하면 신뢰를 빠르게 쌓을 수 있어요. 5) 동네 소규모 클래스 내 취미(사진·노래·산책·뜨개질·스마트폰 사진 정리)를 2~5명 소모임으로 운영합니다. 장소는 카...

장애아 자녀 진로 가이드

밝은 민트색 배경 위에 '장애아 자녀 진로 가이드'라는 문구가 중앙에 크게 쓰여 있고, 왼쪽에는 주황색 티셔츠를 입은 남자아이가 걷고 있으며, 오른쪽에는 아이를 바라보며 손을 뻗는 여성 보호자가 미소 짓고 있는 따뜻한 일러스트 썸네일 이미지
장애아 자녀 진로 가이드

장애아 자녀 진로 가이드

장애가 있는 자녀를 둔 부모라면, 자녀의 고등학교 졸업 이후 진로에 대해 수많은 고민과 궁금증을 안고 있을 거예요. 대학 진학은 가능한지, 직업을 가질 수 있는지, 어떤 공적 지원이 있는지 등… 막막함 속에서도 올바른 정보를 찾고 준비해 나가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특수학급 및 특수학교 학생의 졸업 후 진로, 진학과 취업 현황, 부모가 꼭 알아야 할 지원제도까지 정리해 드립니다. 지금 확인해 보세요.

📌 진학 가능한 대학교와 지원제도

  • 장애인 특별전형: 전국 4년제 및 전문대학에서는 장애학생을 위한 특별전형을 운영 중이에요. 성적 외 다양한 평가 요소로 선발합니다.
  • 국립한국복지대학교: 장애학생을 위한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특성화 대학입니다.
  • 장학금 제도: 국가장학금 외에도 한국장학재단에서 장애학생 대상 장학금을 운영 중입니다.

💼 취업과 직업훈련의 현실

     ✔️ 장애인고용공단 훈련센터: 고등학교 졸업 이후 장애인고용공단의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근로지원인 제도: 직장 내에서 업무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로, 발달장애 학생에게 특히 유용합니다.
     ✔️ 취업 현황: 2024년 기준, 특수학교 졸업생의 취업률은 약 38% 수준으로, 직업계 특수학교 졸업생은 더 높은 수치를 보이기도 합니다.

📢 장애인 고용 의무제도, 부모가 꼭 알아야 할 활용법

우리나라는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은 장애인을 일정 비율 이상 의무적으로 고용해야 합니다. 2025년 기준, 공공기관은 3.6%, 민간기업은 3.1%의 장애인 고용률을 지켜야 합니다.

이 제도를 적극 활용하면, 장애 자녀의 취업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어요. 아래는 부모님들이 기억해 두면 좋은 활용 팁입니다.

     ① 의무고용 대상 기업 목록 확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사이트에서 고용률이 높은 기업 리스트나 채용 공고 확인 가능

     ② 고용공단 연계 직업상담: 자녀의 적성에 맞는 직무를 추천받고, 맞춤형 직업훈련과 일자리 연계 가능

     ③ 채용지원금 제도: 기업 입장에서는 장애인을 채용하면 정부 보조금이 지원되므로, 고용 가능성도 커짐

📋 장애 자녀가 취업 가능한 직업군 예시

장애유형, 개인의 능력과 적성에 따라 취업 가능한 분야는 매우 다양합니다. 최근에는 단순 반복 업무 외에도 IT, 디자인, 행정보조 등 다양한 직무 확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아래 직무분야 외에도 지역 장애인복지관, 발달장애인훈련센터 등에서는 자녀의 흥미와 특성을 반영한 직무 매칭을 지원하고 있으니 꼭 활용해 보세요

직무 분야 예시 직업
사무/행정 행정보조, 문서 정리, 스캔·출력 관리
제조/조립 완제품 조립, 라벨 부착, 포장
조리/서비스 급식소 조리보조, 베이커리 보조, 카페 바리스타
디자인/IT 간단한 이미지 편집, 홈페이지 게시물 관리
공공기관 특화 우편물 분류, 전산입력 보조, 도서 정리

🧭 부모가 미리 준비할 수 있는 3가지

   📍 진로조사 및 흥미탐색: 교육청에서 제공하는 커리어넷에서 진로 적성검사를 활용해 보세요.

   📍 직업체험 참여: 지역의 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나 직업체험관을 이용해 다양한 체험을 제공해 보세요.

   📍 장애인복지관 연계: 거주지 인근 복지관에서 진로 컨설팅, 가족상담, 취업연계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사례: 한 특수학급 졸업생의 진로 여정

고등학교 특수학급을 졸업한 A군은 발달장애 2급으로, 부모님과 함께 장애인고용공단의 직업훈련센터를 찾았습니다. 거기서 제과제빵 훈련을 받은 후, 보호작업장에서 1년간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는 일반 베이커리에서 근무 중입니다. 부모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A군의 진로 형성에 큰 힘이 되었다고 합니다.

✏️ 이런 글도 있어요.

📎 참고자료

💬 마무리하며

자녀의 진로는 단지 ‘진학’이나 ‘취업’의 문제만은 아닙니다. 자신의 삶을 스스로 선택하고, 즐겁게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진짜 진로지도의 핵심입니다.

부모의 정보력과 관심은 아이의 가능성을 여는 열쇠가 될 수 있어요. 이 글이 여러분의 자녀 진로 설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English Summary

This guide provides essential information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cluding post-high school options, job training programs, and support services. Knowing available resources can help parents plan a more secure and meaningful future for their children.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마음을 다독이는 책 8권

인문 교양 도서 추천 7

싱가포르 스탑오버 핵심정리